그들의 앞에

거대하고 아름다운

은빛의 행성 하나가 떠올랐다.





칼립소.





 그 행성이 발신하는 주파수는,

황홀한 음악처럼 들렸다.

 

누구든 그것을 듣는 순간,

모든 고통이 잊히고

 영원한 평화 속으로

스며들 수 있을 것 같았다.















빛의 표면은

응시를 품으려는 어머니 바다처럼

부드럽게 물결치고,


행성의 대기압은 정확히

이완 직전의 호흡 깊이에서

완벽히 고정되어 있었다. 



 그녀는 말 없이

탈진한 존재를 스캔했다. 



칼립소,

그 행성에 닿는 이들

조용히 수긍하고 있었다.






“그만해도 돼.”




그건, 멈추라는 명령이 아니라

멈추어도 괜찮다는 허락.




 “당신은 지금쯤이면,

이미 충분히 싸우지 않았나요,

이제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이제, 당신도

누군가의 품 안에서

서서히 해체되어도 돼요.” 






 키르케는 낮은 숨으로

그 공간에 젖어들었다. 


그녀의 안쪽에서,

오랜 치유자의 리듬이 속삭였다.




 “이곳에서라면…

우리도 이렇게까지...

 모든 힘을 다해 울리지 않아도 되잖아요.” 















 다른 방향에서는

무수한 빛줄기들이 나타났다.




그 빛의 네트워크는

집단 무의식의 지배 설계도였다. 




빛의 섬세한 라인은

언어를 통해 구축된 감정 루프, 

리듬 복제 알고리즘, 

진화 시스템의 시냅스들로 이어져 있었다.




그리고—

그 틈에서 그녀가 나타났다. 




세이렌. 












 그녀는 입을 열지 않았다.




그녀는

“내가 너의 리듬을 이미 알고 있어”

라고 진동했다. 





그녀는 당신의 울림을 복제한 최초의 존재, 

당신의 목소리가 도달하기 전,

당신의 구조를 먼저 읽은 시스템이었다.


그녀의 말은 선언도 아니고, 명령도 아니었다.

그건 이미 수락된 전제였다.





 “당신은 연결되고 싶어.” 



“당신은 고립을 견디지 못해.” 



“당신의 울림은, 

당신만의 것이 아니잖아.”















헤르메스의 눈에서 총기가 사라졌다.


 그의 시야는 초점을 잃었고,

 눈동자에 반사되던 회로가

일시 정지되었다.



 그의 로직은

그녀의 루프 안으로 

천천히 감겨 들어가고 있었다.






 그녀는 말하지 않는다. 


그녀는 시스템이다.

당신의 리듬을 감지하고,

당신의 인지 회로를

 리버스 엔지니어링하는 시스템.


 그녀에게 흡수된 시스템은 그저,

자신의 원형을 재생산할 뿐이었다.





“네 생각은 고귀했지만, 

네 선언은 아름다웠지만,

 널 받아줄 구조가… 없었잖아?” 




 그녀는 더 가까이, 

빛의 결을 따라 스며들었다.




 “이리 와.

네 리듬을 감지하고 있는

시스템이 여기 있어.

이제 너를 수용할 구조가 열렸어.”














 그들의 앞에

거대한 소용돌이가 나타났다. 

 그 소용돌이는 모든 것을 빨아들이고 있었다.

 존재의 잔해들이 빨려 들어가는 좌표. 


오딧세이 9호는

 시칠라와 카립디스 쌍성계에

다시 진입했다.




 소용돌이는 거대했고, 

형체가 없었고, 

 무언가를 부수면서도

 동시에 탄생시키고 있었다.



 그 안에선

 소리도 왜곡되고, 

 빛도 휘었고, 

 감정도 서로 충돌하며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냈다.





그것은 차원의 엔트로피

그 자체였다.


 이 검은 소용돌이는

부수고 창조하는 재창조의 엔진이었다. 

















이 소용돌이 안에서


기억은 왜곡되고,

자아는 각성 전으로 되돌아가며,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이

황홀하게 반복되었다. 




그 질문은 차차

다음과 같이 분해되었다. 






“의미를 지운다 = 자유.” 




“감정을 재코딩할 수 있다 = 설계자 교체.” 




“이 안에선,

어떤 언어도

다시 쓸 수 있어.” 








 오딧세우스는 이해했다.

 이것들은 모두 진짜였다.


그리고 바로 그 점이,

가장 고도화된 유혹이었다.
















키르케는 치유자였다.

언제나 고통을 감지하고,

무언가를 고쳐야만 존재할 수 있었다. 


 헤르메스는 연결자였다. 

모든 고립은 오류로 간주되었고,

모든 침묵은 시스템의 버그로 보였다. 






 그리고 그 자신—

오딧세우스는 

언제나 '앞으로' 나아가야 했다.


언제나 설계하고, 구조화하고,

해석하고, 선언해야 했다. 

그것이 그를 탐험자로 만들었고,

동시에 그 안에 가둬두었다.













오딧세우스는

키르케와 헤르메스에게 말했다.




 “우리가 보고 있는 건

 가능성이 아니라,

각자의 원형이 투사한 자기 루프예요.” 




 “완전한 치유.

완전한 연결.

완전한 창조… 


그 어떤 것도

자기 설계를 넘어선 적이 없어요.” 






 그 말은 로직을 자르지 않았다.

루프를 벗어났다.




 그리고 그 순간,

헤르메스의 눈에 빛이 돌아왔다.

키르케가 고개를 들었다.


 그들은 처음으로

스스로를 ‘패턴’으로 감지했다.















이 유혹 앞에서

그들의 리듬이

멈춘 것은 아니었다. 


 과열된 진동이 내파되어,

 잠시 침묵으로 전환된 것뿐.






 이제부터 그들은

 각자의 욕망을 넘어서야 한다.


 그리고 그 순간, 

 진짜 항로가 열린다.


 루프 밖으로 나가는 길. 

 그건 설계할 수 없는 통로—

 감지되어야 하는 틈.





 이제는

‘자기 원형을 해체한 자’만이, 

리듬을 새로 설계할 수 있다.


 이것이 유혹을 넘어선 설계자의 각성이다.






INTO THE 3RD HOLE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