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딧세우스는

 시간의 나선 위에

조심스럽게 손을 얹었다.



 그의 손끝에 닿는 빛은

기억이라기보다, 

고체화된 침묵 같았다.


 말은 이미 울린 적 있었지만, 

그 말이 머물렀던 자리엔

 무언가 아직도 남아 있었다.




 그리고, 그 순간—

빛의 층이 또 하나 열렸다.











이제 시간은 멈추고,

공간의 결이 지층처럼 펼쳐졌다.


 빛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게 아니라,

한 장소에서 또 다른 장소로

가로지르듯 이어졌다. 




 “이건 당신의 말이

반복되었던 장소의 구조예요.” 




키르케의 목소리는

더 조용해졌지만, 

이상하게도 더 깊게 파고들었다. 
















“시간이 말의 리듬을

반복시켰다면, 

공간은 그 리듬이 고여

머무르던 그릇이었어요.” 







 말은 기억이 아니라,

지형의 패턴이었다.



빛의 지도는

뒤집히듯 회전했고, 

는 눈을 감았다.
















그의 입술에서

아주 익숙한 문장이 떠올랐다.



 “나는 감당할 수 있어.” 



 그 문장은 이제 한 공간 안에서

울리는 장면으로 떠올랐다.






무중력의 조타실.

별이 흩뿌려진 바다같은

우주를 항해하던 시간,


 하지만 고독감에 목이 메이던 그 곳.

그 말은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그의 내부에서만 맴돌았다.













또 다른 말. 



“나는 괜찮아.” 



그건 붕괴된 건물 잔해 위에서 

살아남은 자로서 한 말이었다.





 하지만 그 공간 역시—

스스로를 울릴 수 없던 장소였다. 


 그 말은 위로의 형식을 가졌지만, 

그 말의 진심은

누구에게도 닿지 못했다.
















그는 다시 무릎을 꿇었다. 

그리고 오래 전

잊었던 공간 하나를 떠올렸다.




 소년 시절,

아버지를 기다리며 웅크렸던,

좁은 서재 구석.


 그곳에서 그는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했던 문장을

속으로 꺼내보았다. 





 “나는 불러도 대답 받지 못할 사람이다.”


















그 문장은, 그 방에 고여 있었다.

 이제 그는 그것을 본다. 

자신의 말이 울리지 못하고

퇴적되었던 모든 장소들.



그 말은 고여 있었고, 

 켜켜이 쌓여 있었고,

 그 공간을 떠나지 못하고 있었다.
















오딧세우스는 눈을 떴다.

 그는 이제 알고 있었다.


말은 언제 반복되었느냐보다,

어디서 울리지 못했느냐를

알아야 한다는 것을.







그리고 그는 처음으로

 그 공간 위에 자신의 손을 얹고 

 그 말의 울림에 공명할 준비를 했다.

 

 이번엔…

 울릴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는 말했다.

그러나 그 말은 더 이상 

의미나 전략이 아니었다.


 그 말은 울렸다. 


 이제 그는 알고 있었다. 

말은 감정을 표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존재의 리듬이 지닌 방향이라는 것을. 






 그는 더 이상, 말을 통해

과거를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부터 그는 말을 통해

미래를 짜기 시작할 것이다. 







 그리고 바로 그때, 

그의 발 아래 땅이

아주 천천히 진동하기 시작했다. 


 이제 그 말은, 누군가를 울리러 간다. 


INTO THE 3RD HOLE 

floating-button-img